본문 바로가기

o t h e r s

[김성근 장인 리더십-4회초] 참기 힘들수록 냉정하게

728x90


감독의 신일고 감독 시절 모습

SK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다음날. EBS 라디오에서 ‘세계 음악기행’을 진행하는 성기완씨는 김성근 감독과 연관이 있는 자신의 중학생 시절 경험담을 얘기했다고 한다.

방송을 들은 팬이 한 야구 게시판에 올린 글에 따르면 성기완씨는 자신의 충암중 선배(당시 충암고 야구선수)로부터 “김 감독이 훈련 중 한 선수의 배트에 입을 맞고 쓰러졌다. 앞니가 다 빠질정도의 충격이었지만 김 감독은 선수를 혼내지 않고 “네 스윙 궤적 안에 들어가 있던 내 잘못”이라고 위로하더라”는 말을 듣고 그때부터 야구의 신이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성기완씨의 기억은 정확하다. 실제로 김 감독의 앞니는 모두 틀니다. 당시는 충암고가 황금사자기 8강전서 신일고에 패해 와신상담을 하고 있던 중이었다.

김 감독은 한 선수를 집중 지도하고 있었는데 너무 몰입 했던 탓에 자신이 조금씩 그 선수쪽으로 다가가고 있다는 것도 잊고 말았다. 그러다 알루미늄 배트의 사정권(?)까지 들어가게 됐고 결국 사고가 터진 것이다.

김 감독은 “왜 화가 안 났겠어. 이가 빠진 것은 둘째치고 입이 금세 부어오르고 통증이 너무 심해 엄청 괴로웠지. 하지만 놀란 아이의 얼굴을 보니 화를 낼 순 없었어. 특히 그때 분위기는 더 그러면 안됐어”라고 말했다.

김 감독의 말 한 ‘그때 분위기’란 당시의 충암고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사실 당시 충암고엔 더 큰 사고들이 줄을 잇고 있었다. 김 감독의 부상은 사고 축에도 못 들 정도였다.

황금사자기가 끝난 뒤 충암고 선수들은 일종의 패닉 상태에 빠졌다. 지금도 문제가 되고 있는 ‘전국대회 4강=대학 입학’이라는 족쇄 때문이었다. 워낙 충격적인 패배였기에 어린 선수들의 동요는 매우 심했다.

스트레스는 곧 이상 행동으로 이어졌다. 충암고 선수들끼리 난투극이 벌어져 한명이 머리를 다쳐 병원에 입원하는 일이 먼저 터졌다. 얼마 뒤에는 선수들이 술을 마시다 동네 건달들과 시비가 붙어 큰 싸움이 벌어졌다. 그때도 또 한명이 다쳐 병원 신세를 져야 했다.

김 감독은 그때마다 경찰서로 불려다녀야 했다. 사건이 진정된 뒤에는 매일같이 3군데 병원을 오가야 했다. 자신의 치료를 위해, 또 입원한 두명의 선수들을 위로하기 위해서였다. 

선수들 이상으로 황금사자기 패배가 아팠던 김 감독이었기에 당시 연이은 사건들은 견디기 힘든 시련이었다. 그러나 김 감독은 선수들을 크게 나무라지 않았다. 리더는 위기가 닥칠 수록 더 신중해져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시리즈 ‘3회말’에 언급했던 것처럼 산과 계곡으로 선수들을 몰고 다니며 가슴 속 응어리들을 풀어주려 애를 썼다.

김 감독은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나는 선수들을 많이 혼내. 예전엔 때리기도 했었지. 하지만 철칙이 하나 있어. 술먹고 때리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는 거였어. 때리는건 야구를 잘 하게 하기 위해서지 감정이 앞서면 그건 폭력이잖아. 아버지가 아들 때릴때 감정으로 하지 않는거나 마찬가지야. 사고가 났을때 리더가 흥분해서 날뛰면 애들은 그걸로 끝이난다고 생각해.”

쌍방울 감독 시절의 경험담에서도 그의 ‘리더 철학’을 읽을 수 있다. 서울 원정길에 오른 김 감독은 그날도 밤 늦도록 데이터를 연구하며 다음날 경기를 대비하고 있었다.

밖이 좀 소란해지는가 싶더니 한바탕 난리가 났다. 쌍방울 원정 숙소로 조직 폭력배들이 들이닦친 것이었다. 폭력배들은 “A 선수를 당장 내놓지 않으면 다 죽여버리겠다”고 소동을 벌였다.

이유가 더 황당했다. A선수가 그 조직 보스의 애인과 몰래 연애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야구 감독으로서는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김 감독이 직접 나선 뒤에야 겨우 사태가 진정됐다. 물론 A선수는 끝까지 숨겨놓고 있었다. 김 감독은 “그땐 정말 무섭더라”며 너털 웃음을 지어보였지만 당시 속 마음이 어땠으리란 건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김 감독은 이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A선수를 크게 나무라지 않았다. ‘야구 선수가 어떻게...’라는 생각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때 기분만으로 선수를 몰아친다면 선수 생명은 물론 인생까지 막장으로 곤두박질 칠 수 있다는 생각에서 홀로 분을 삭였다.

그는 여전히 야구에 대한 열정이 식은 선수라면 모를까 하고자 하는 선수에겐 어떻게든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믿고 있다. 

*덧붙이기 : 김 감독은 고등학교 감독 시절 선수들을 집으로 데려가 금값같던 소고기로 직접 ‘샤브샤브’요리를 해주기도 했다. 충암고 시절 계곡으로 놀러다닐때는 그 횟수가 더욱 늘었다. 

그때 익힌 솜씨 덕분에 지금도 ‘샤브 샤부’요리엔 자신을 갖고 있다. 개포동에 있는 그의 단골 ‘샤브 샤브’집은 김 감독의 조언을 받은 뒤 손님들이 부쩍 늘어났다는 후문이다. 

홀 서빙을 하는 한 아주머니의 반응이 재미있다. “사장님이 계속 감독님이라 부르며 지적을 받으시길래 난 식당 감독을 하시는 분인 줄 알았다. 감독님은 우리 가게서도 감독님이다”


 

728x90